추동형(THREAD) 케어 시스템 운영
- 석사과정 입학에서부터 문화기억 전문가로 진출하기까지 학생 집중 케어 시스템 운영
![](/sites/bk21english/images/con_bk21english_02_01.jpg)
추동형(THREAD) 케어 시스템 모형
- 훈련(Training): 석사과정 입학과 동시에 진행되는 집중적인 코스웍 트레이닝 운영
- 지평(Horizon): 학문적 기대지평(horizon of expectations) 확장, 영어영문학분야를 넘어 인문학뿐 만 아니라, 타학문 분야(철학, 심리학, 문화인류학 등)로 연구 확장
- 연구(Research): 학부생-대학원생 학술 멘토링 조직 활동, 연구소 세미나 활동, 국제 학술행사 대학원생 세션 참여, 국내·외 학술대회 발표, 학술논문 투고
- 참여(Engagement): 사회문제 해결능력 함양을 위해 협약을 체결한 지역사회 기관과 연계 활동 추진 및 해외기관 인턴십과 단기연수 참여(본교 융합인재 교육원 및 국제협력본부 연계)
- 도제교육(Apprenticeship): 지도교수, 신진연구인력과의 도제식 학술 멘토링제 실시
- 파견(Delegate): 글로컬 문화기억 사절단으로서 국제적 활동 개시(본교 국제협력본부 연계)
투인원(Two-in-One) 교육-연구-교육 선순환 시스템 구축
- 교육과 연구가 분리되지 않고 체계적 교육 시스템 운영이 훌륭한 연구 성과 도출로 연계되고, 연구 역량 향상이 다시 교육적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구축
- 학생과 교수진 각각 교육과 연구의 선순환 구조 구축
![](/sites/bk21english/images/con_bk21english_02_02.jpg)
교육-연구의 선순환 시스템
선순환 시스템 내용
-
- 학생
-
-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연구방법과 논문작성 등에 관한 비정규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하여 기초 연구역량 증진
- 교육조교(TA) 제도를 통해 전공수업에 참여하여 전문적인 교육 훈련 수행
- 학부생 및 지역사회 시민들과 소규모 학술모임을 조직하고 운영함으로써 독립 연구자로서의 자질 함양
-
- 교수
-
- 학문분야를 선도하는 세계 유수 대학을 주기적으로 벤치마킹하여 정규 교육과정을 혁신
- 정규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못한 최신 연구 동향을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에 접목
- 비교적 방법론을 도입하여 기존 정규 교육과정을 혁신
- 연구분야의 대중화를 모색하면서 연구성과를 지역 시민들과 공유하여 학문지식을 사회로 환원
관련제도 : (사업 선정시) 교수 1인당 대학원생 TA를 의무적으로 배치(전남대학교 대학원 규정)
글로컬 패치워크(Glocal Patchwork): 비교과 교육프로그램 운영
- 본 교육연구단의 핵심주제인 기억과 관련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비교과 교육프로그램 운영
-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지역(local) 공동체와 세계(global) 시민을 연결할 수 있는 창조적 지식인 양성
- 참여대학원생의 다양한 관심사와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사회 기관 연계
![](/sites/bk21english/images/con_bk21english_02_03.jpg)
글로컬 패치워크 모형도
지역 및 해외기관과 업무협약을 통한 비교과 교육프로그램 운영
구분 | 기관명 | 비교과 교육프로그램 세부내용 |
---|---|---|
지역기관 | 전남대 사대부고 |
|
시민자유대학 |
|
|
전남대 5.18연구소 |
|
|
광주트라우마센터 |
|
|
광주국제교류센터 |
|
|
해외기관 | 북아일랜드, 퀸즈대학교 조지 J. 미첼 세계 평화, 안전, 정의 연구소 |
|
미국, 켄트주립대학교 평화와 분쟁 연구 학부 |
|
|
스웨덴, 룬드대학교 인권연구센터 |
|
교육연구단 통합 운영 프로그램: <문화기억주간> 프로그램 개최
- 연 1-2회 지역 시민들의 문화기억 발굴과 기억 담론을 확산하는 문화제를 기획하고 운영
- 전남대학교 지역인문학센터와 연계하여 개별 지역사회 기관과 해외기관의 대표 프로그램을 통합할 수 있는 글로컬 기억문화제 개최
- 참여대학원생들의 글로컬 문화기억 분야 진로 및 취업 지도로 연계
-
- 몸-기억 영화제
-
- 몸의 기억, 몸으로 전수된 기억에 관한 영화제 개최
- 영화 상영회, 감독 초청 토크 콘서트 진행
- 시민참여 독립영화 제작 프로젝트 진행
-
- 사소한 기억들의 역사
-
- 공적 기억과 사적 기억의 교류의 장 형성
- 시민 증언 포럼 개최
- 주변화 된 문화기억 발굴 프로젝트 진행
-
- 몸의 기억: 정동 글쓰기
-
- 몸-기억에 관한 창작 글쓰기 공모전 개최
- 지역사회 청소년 및 시민 대상 문학 페스티벌 진행
- 작품 낭송회 개최(※ <디지털 문학의 밤> 행사와 연동)
-
- 디지털 문학의 밤
-
- 문학작품을 활용한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및 전시회 개최
- ㈜공감미디어와 협업하여 지역 문화기억 보존 및 개발
- 학부-대학원생이 연계된 그룹 프로젝트 진행